반응형

하나의 이클립스에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띄우다 보면 메모리가 적어서 오류가 난다.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이 에러가 뜨게 된다.

메모리부족 현상으로 이클립스에  뜨는 메시지

해결법은 매우 간단하다.

<Resources cachingAllowed="true" cacheMaxSize="100000" />

위 코드를 context.xml에 넣으면 된다.

이클립스 상에서 context.xml를 찾아가는 방법

저 코드를 아래와 같이 넣으면 말끔히 해결된다.

<Resource> 태그를 넣은 모습

모두들 이걸로 메모리현상에서 벗어나길 기대하며 적어봄.

 

반응형
반응형

스트라드비젼(Stradvision) 기업의 기술력을 조사하고 느낀점에 대해서 적어 봅니다.

기업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내부에서 보는 관점과 외부에서 보는 관점은 서로 다른 것 같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스트라드비젼(Stradvision) 이라는 자율주행 기반 딥러닝 전문 업체에 대해서 소개하고 기업의 외부보다는 내부에서 보는 시각으로 글을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핵심 글귀는 특허 데이터에서 기반하여 작성할 예정이며

모든 자료는 PATENTPIA 에 회원가입 후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이용해서 글을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트라드비젼은 2014년에 창업한 벤쳐기업으로써 이미 많은 언론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문정부 들어서 빅데이터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국가적 사업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부분에서 인기가 매우 높은 기업입니다.

그렇다면, 해당 기업의 R&D 지표 및 비율은 어떻게 되는지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스트라드비젼 보유 한국특허 출원 공개 동향

위 챠트에서 보듯이 2014년 설립이후 초기단계에는 개발업무를 진행하다가 2017년도부터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특허는 출원하고 2년뒤에 공개되므로 2019~2020년도에 급상승을 했다면 대략 2016~2018 사이에 R&D에 투자를 많이 한것으로 보입니다.

R&D에 투자를 했다면 대~~충, IR를 통해 인원충원 후 연구개발에 힘쓴 거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당연하죠 많은 돈이 들어가기 때문이죠) / 스트라드비젼은 돈을 잘 끌어모으는 CEO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트라드비젼 핵심 기술인 자율주행 관련 국내 주요 기술기업 현황 챠트

아직 초기 단계의 기업이기 때문에 위 그림에서 보듯이 자율주행 기술시장 전체의 약 3.1%를 차지하고 있지만 현재의 연구개발 추세를 유지한다면 현대 모비스가 보유하고 있는 주황색 정도의 기술력까지는 무리없이 올라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스트라드비젼(Stradvison)이 보유한 특허에서 추출한 주요 키워드

 

주요 특허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살펴보면 시험 장치를 통해 물체를 감지한 다수의 이미지를 학습데이터로 입력해 ai(신경망) 을 구동하여 예측 데이터를 뽑아내는 업무를 하고 있다는것을 알 수 있다.

약간의 전공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주요 키워드의 나열로 대략적으로 어떤 분야에 R&D를 하고 있는지를 문장으로 구체화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업의 주력 연구개발 사업을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스트라드비젼(Stradvision)의 주요 핵심 연구자

조호진씨, 제홍모씨~ 김계현씨 까지 연구개발팀의 주력멤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사실 실제 해당 인원의 부서는 알 수 없지만 각각의 중요 인원을 기술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내가 ceo라면 저 주력멤버들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철저히 관리하여 운영 risk를 줄일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든다.

 

위 데이터들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면,

기술력 상(매우 높음)
기업 시장내 비율 3.1%(아직은 저조하지만 가능성이 높음)
주력 멤버 9명의 주력멤버가 있지만 이는 더 늘려나가는것이 좋음.
기업 인적 리스크가 높을 거라 생각이 됨.
결론 - 전문성이 매우 높은 기업임.
- 주요 멤버들을 잘 관리하고, 지속적인 R&D를 진행한다면 전체 시장의 약 15%까지 점유가 가능한 수준임.

이상으로 스트라드비젼(Stradvision) 의 내부에서 바라볼 수 있는 데이터적 관점에서 제 생각을 정리해 본 글입니다.

글이 유익하시다면 댓글로 함께 토의 해 보았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우선 mariaDB내의 저장소의 위치를 확인한다.

$ sudo mysql

Welcome to the MariaDB monitor.  Commands end with ; or \g.
Your MariaDB connection id is 30
Server version: 10.1.48-MariaDB-0ubuntu0.18.04.1 Ubuntu 18.04

Copyright (c) 2000, 2018, Oracle, MariaDB Corporation Ab and others.

Type 'help;' or '\h' for help. Type '\c' to clear the current input statement.

MariaDB [(none)]> select @@datadir;
+-----------------+
| @@datadir       |
+-----------------+
| /var/lib/mysql/ |             => 현재 설치 위치를 확인한다.
+-----------------+
1 row in set (0.00 sec)

MariaDB [(none)]>

(2) mariaDB 데몬을 종료한다.

$ sudo systemctl stop mariadb

(3) 현재 mariaDB내의 데이터 및 설정정보를 새로운 저장소로 이동시킨다.

$ sudo rsync -av /var/lib/mysql /mariadb/data/

sending incremental file list
mysql/
mysql/aria_log.00000001
mysql/aria_log_control
mysql/debian-10.1.flag
mysql/ib_logfile0
mysql/ib_logfile1
...
...
...
mysql/mysql/user.frm
mysql/performance_schema/
mysql/performance_schema/db.opt

sent 114,284,594 bytes  received 1,879 bytes  228,572,946.00 bytes/sec
total size is 114,249,816  speedup is 1.00

(4) 복사한 새로운 저장소의 mysql 폴더 권한을 변경한다.

단, 만약 권한이 자동으로 따라간 경우에는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지 말도록 한다. ls -la 명령어로 /mariadb/data 폴더를 조회했을때 mysql  그룹 및 소유자 권한으로 되어 있다면 별도로 수정하지 않도록 한다.

$ sudo chown -R mysql:mysql /mariadb/data/mysql

(5) my.cnf 파일을 수정해서 저장소 바뀐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etc/mysql/mariadb.conf.d$ sudo vim ./50-server.cnf

(아래내용은 50-server.cnf 내용임)

[mysqld]
lower_case_table_names = 1

#
# * Basic Settings
#
user            = mysql
pid-file        = /var/run/mysqld/mysqld.pid
socket          = /var/run/mysqld/mysqld.sock
port            = 3306
basedir         = /usr
#datadir                = /var/lib/mysql
datadir         = /mariadb/data/mysql
tmpdir          = /tmp
lc-messages-dir = /usr/share/mysql

(6) 재시작 하면 땡!

$ sudo systemctl start mariadb

(7) 테스트!

테스트는 aaaa 라는 테이블을 만들어서 /mariadb/data 안에 물리적인 파일이 생성되는지 확인한다.

$ sudo mysql
.... 접속완료

MariaDB [(none)]> create database aaaa;
Query OK, 1 row affected (0.00 sec)

MariaDB [(none)]> flush privileges;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 ls -la /mariadb/data/mysql/
total 110660
drwxr-xr-x 5 mysql mysql     4096 Aug 29 00:10 .
drwxr-xr-x 3 root  root      4096 Aug 28 23:57 ..
drwx------ 2 mysql mysql     4096 Aug 29 00:10 aaaa  ==> 발견!!
-rw-rw---- 1 mysql mysql    16384 Aug 28 23:56 aria_log.00000001
-rw-rw---- 1 mysql mysql       52 Aug 28 23:56 aria_log_control
-rw-r--r-- 1 mysql mysql        0 Aug 28 23:46 debian-10.1.flag
-rw-rw---- 1 mysql mysql 12582912 Aug 29 00:10 ibdata1
-rw-rw---- 1 mysql mysql 50331648 Aug 29 00:10 ib_logfile0
-rw-rw---- 1 mysql mysql 50331648 Aug 28 23:46 ib_logfile1
-rw-rw---- 1 mysql mysql        0 Aug 28 23:46 multi-master.info
drwx------ 2 mysql mysql     4096 Aug 28 23:46 mysql
-rw-rw---- 1 mysql mysql       15 Aug 28 23:46 mysql_upgrade_info
drwx------ 2 mysql mysql     4096 Aug 28 23:46 performance_schema
-rw-rw---- 1 mysql mysql    24576 Aug 29 00:10 tc.log
ncloud@gov-mariadb:/$

이상 입니다.

 

진짜~~~ 편하네... ㅎㅎㅎ 읽으신 분들은 댓글 꼭 달아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최근들어서 클라우드가 각광받고 있기 때문에 AWS, GCP, AZURE 등등 클라우드 서버에 FTP 기능을 이용하여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대부분이 VSFTP를 설치한다. 또는 기호에 따라서 ProFTP를 설치하는 사람도 있다.

개인적으로 구지 FTP를 쓸려면 VSFTPD를 추천한다. 아무래도 보안에 좀 더 강점있다.

ProFTP는 맨날 보안업데이트를 하라고 클라우드 사에서 공지가 오는거 보면 그닥 보안면에서는

좋은 프로그램은 아닌것 같다.

 

다만, 설치하자마자 active 모드로 쓸수있어서 vsftpd 처럼 passive모드를 따로 설정안해줘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것저것 다 귀찮으면 걍 SFTP를 쓰자 !!!!! 아래 내용을 잘 읽어주세요.

 

SFTP 설정
: 보안 이슈때문에 SSH 의 포트번호를 대부분 많이 바꾼다.
: 여기서는 22번 기본 SSH 대신 20122를 쓴다고 가정해보자.
※ 주의할 점은 SSH PORT 와 SFTP PORT가 모두 동일할 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상 둘은 다르다. 즉, SSH의 PORT를 변경하게 되면 SFTP PORT또한 별도로 설정을 진행해야한다.

우선 서버에 ROOT 로 접속해서 아래 설정을 변경하자.

$ sudo vim /etc/ssh/sshd_config
....

쭉 ~ 열어 보면 아래 내용에서 Port를 바꿀 수 있다.

# The strategy used for options in the default sshd_config shipped with
# OpenSSH is to specify options with their default value where
# possible, but leave them commented.  Uncommented options override the
# default value.

Port 20122  => 요놈으 ssh Port이다 / 이놈이 원래는 22로 셋팅되어있을 것이다. 이걸 바꾸면 됨.

#AddressFamily any
#ListenAddress 0.0.0.0
#ListenAddress ::

~~~~~ 스크롤해서 아래로 더 내려가보자.


# override default of no subsystems
Subsystem       sftp    /usr/lib/openssh/sftp-server

# Example of overriding settings on a per-user basis
#Match User anoncvs
Match LocalPort 20122   => 요놈이 sftp의 Port이다. / 이놈을 위에 포트와 동일하게 하면됨. 그럼 20122로 사용가능!!
X11Forwarding no
AllowTcpForwarding no
ForceCommand internal-sftp

이재 재시작 해볼까?

$ sudo /etc/init.d/ssh restart

 

외부 서버에서 접속방법

외부서버에서는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접속이 가능하다.

$ sftp -P 20122 계정명@원격지IP or HOSTNAME

이제 파일을 올리는 방법 및 다운받는 방법을 보자!!

  • put : 1개 파일 올리기용 명령어
  • mput : 여러개 파일 올리기 명령어
  • get : 1개파일 다운로드
  • mget : 여러개 파일 다운로드
  • ls : 접속한 원격지 파일 목록 출력
  • ls! : client 서버의 파일 목록출력 (local일수도 있음)
  • !{명령어} : 로컬서버에서 실행하는 명령어이다.  

대략 보면 vim 의 문법과 비슷한 부분들이 있다.

이제 손쉽게 sftp를 쓰세용.~~~

 

읽으시면 댓글 필수임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