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 진행중 ,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 이란 단어를

참 많이듣게되는데, 사전적 의미를 하나 집고 넘어가보도록 하겠다.


정량적 : 자료를 수치화 한다.
(즉, 숫자나 금액으로 환산 가능한 자료를 의미한다.)
(ex : 경제적인 기대효과가 몇 % 성장 할 것이다.)


정성적 : 숫자나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것들을 말한다.
(ex : 만족도 , 기대치, 선호도)


이렇게 하나씩 용어를 정리해 나가야지만,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이론개념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DK & SDK 차이 ]  (0) 2011.01.24
[ 발명자와 출원인의 차이점? ]  (0) 2011.01.19
[ 단편화 현상 ]  (0) 2010.10.03
RIA란?  (0) 2010.09.21
[정부프로젝트 관련 용어]  (0) 2010.08.26
반응형
오늘은 대학시절 OS시간에 배운 단편화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개념은 DataBase에서도 좀 많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잊어먹지 말도록 하자.

[1] 단편화(fragmentation) 현상이란?

 일반 적으로 운영 체제 및 DB에서 말하는 단편화 현상이란, 데이터 파일이 저장 매체 상에서 하나의 연속된 위치에 저장 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저장되는 것을 말한다.

[2] 내부 단편화(internal fragmentation) 란?

 쉽게 설명 하자면 분할 한 뒤 남은 공간을 일컫는다. 예를들어 메모리공간에 50Byte 의 전체 공간이 있다고 가정하였을떄 45Byte짜리 데이터를 저장시켰다고 가정하자. 그럼 5Byte의 공간이 남게된다. 다음  번 저장 될 데이터의 용량이 10Byte라고 가정한다. 현재 남은게 5Byte 밖에 없으므로, 10Byte는 저장될 수 업다. 이런 경우 남은 5Byte를 내부 단편화 공간 라고 일컫는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내부단편화 현상이라고 일컫는다.

[3] 외부 단편화(external fragmentation)란?

 요것도 쉽게 설명해보자,
 100Byte짜리 전체 공간이 있다고 가정하자. 순차적으로 50Byte, 15Byte, 20Byte , 25Byte가 저장되어 메모리가 Full 상태 이다 . 다음 프로세스가 15Byte, 25Byte 데이터를 삭제하였다. 그렇다면 현재 남은공간은 아래와 같다. 50Byte(데이터), 15Byte(빈공간), 20Byte(데이터), 25Byte(빈공간) 이다. 메모리 저장공간은 Stack, or Queue에 싸이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쌓인다. 
 위 전제조건에서 40 Byte저장공간이 입력된다고 가정하자. 그럼 15 and 25 의 빈공간에는 들어갈 크기가 되지 못한다.
 총 남은 메모리 용랴은 540Byte 이지만, 순차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공간은 그렇지 않은 것이다.

 이경우 , 15Byte, 25Byte 공간이 외부단편화 공간이 되며, 이런 현상을 외부 단편화라 일컫는다.


                                                                                           - 2010.10.03 랑이씀 -
반응형

'이론개념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DK & SDK 차이 ]  (0) 2011.01.24
[ 발명자와 출원인의 차이점? ]  (0) 2011.01.19
[ 정량적 & 정성적 ]  (0) 2010.10.08
RIA란?  (0) 2010.09.21
[정부프로젝트 관련 용어]  (0) 2010.08.26
반응형
우분투 에 SVN을 설치하고 나서 재부팅할때마다 SVN데몬을 다시 재시작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것저것 뒤지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아래와 같은 좋은 방법이 존재하여

블로그로 글을 쓴다.


( 우분투 자동 Script 작성방법 )

[1] 자동 Script를 생성한다.

$sudo vim /etc/init.d/autoScript

[2] Script안에 자동 Script를 작성한다.

#/bin/sh

# SVN ON
sudo svnserve -d -r /home/svn/

[3] 제작한 autoScript를 rc.d 파일에 추가한다.

$ sudo update-rc.d /etc/init.d/autoscript defaults

요렇게 해버리고 껏다 키면 SVN이 자동으로 실행됨을 알 수 있다.

                                                                                                    - 2010.09.25 랑이씀 -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PRELAY 를 활용한 PORT 포워딩 ]  (0) 2010.12.16
[ Apache2 UserDir 설정방법 ]  (0) 2010.10.18
[Tomcat 에 Port 추가방법]  (0) 2010.09.25
[ /etc/shadow 파일 분석]  (0) 2010.09.19
[SSH 로그인 환영 메시지 작성]  (0) 2010.09.15
반응형
Tomcat 에 Port를 추가해서 별도 프로젝트로 관리 하고 싶을시엔 아래와 같이 하면된다.

예제를 통해 9999 포트와 9090 포트 두가지 예를 들어서 셋팅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작업 해야할 파일은 server.xml 파일이 되겠다.


[1] 9999 Port에 Setting 방법

<!-- ATM Service Configuration -->
<Service name="ATM_OPER">

<Connector  port="9999" protocol="HTTP/1.1"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Engine name="ATM_OPER" defaultHost="localhost">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Context path="/scenario" docBase="/webSrc/scenario/"
reloadable="true"/>

</Host>
</Engine>

</Service>


[2] 9090 Port에 Setting 방법

<!-- ATM DEV Service Configuration -->
<Service name="ATM_DEV">

<Connector  port="9090" protocol="HTTP/1.1"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Engine name="ATM_DEV" defaultHost="localhost">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Context path="/scenario" docBase="/webSrc/scenario_dev/"
reloadable="true"/>

</Host>
</Engine>

</Service>


이렇게 해버리면 소스 업로드에 따라서 위치가 변경되어 자동으로 된다.

반드시 저걸 수정한 뒤에는 tomcat was를 껏다 켜야 됨을 유념하길 바란다.




                                                                                             - 2010.09.25 랑이씀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