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얼마전에 다리에 반깁스를 했따.

으~~ 너무 아프다. 주사기를 놓고 빼보니 물이랑 피랑 같이 섞여 나왔당 으엉~~

유도하다 다쳐서 그런지 .. .아무튼.. 실비 보험은 기본적으로 30만원까지만 통원치료비를 준다.

그래서 MRI를 찍기위해서는 비싸니깐 입원하는게 편하다.

입원 후 메리츠 화재에 보험료를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겠다.

(필요서류)
1. 보험금 청구서(요건 메리츠화재 홈페이지 가면된다.)
2. 입퇴원 확인서
3. 진료비 상세내역
4. 진료비계산서 및 영수증


2,3,4 번 항목은 병원 원무과에서 출력해 달라고 하면 해준당. ~

요렇게 해서 팩스로

☆ 0505 - 201 - 3400 으로 팩스를 보내면...

[보험금 접수서류 07장 정상수신되어 접수예정입니다.] 라는 SMS가 날라온다.

다음부터 이거 못해서~ 전화하고 하는일 없도록 해야긋당.. 이럼 끝!! ㅋㅋ

반응형
반응형
가끔 정전이 되거나, 하는 경우 서버는 잠시 죽어버린다.

IDC센터의 경우는 그럴일이 없겠지만, 개인 서버의 경우는 그런경우가 많다. 이럴때

타임서버와 Sync가 깨지게 되는데 이를 바로잡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rdate데몬
 - rdate데몬은 타입서버에 접속하여 시간을 받아와 현재 서버와 Sync를 맞추어 주는 Daemon이다.

(2) 실제 사용법

1) 현재 서버의 시간을 알아보도록 하자.
xxxxx@javaserver-server:~$ date
2011. 10. 10. (월) 23:18:34 KST
xxxxx
@javaserver-server:~$

2) Time server의 시간을 알아보도록 하자.
xxxxx@javaserver-server:~$ sudo rdate time.bora.net
Mon Oct 10 23:19:32 KST 2011
xxxxx
@javaserver-server:~$
- 시간이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ㅋㅋㅋ 실제 실습을 위한거라서 그렇다.  그럼 이제 동기화를 해보도록 하자.

3) 서버 동기화
xxxxx@javaserver-server:~$ sudo rdate -s time.bora.net

ㅋㅋㅋ 저렇게 하면 끝난다. date명령을 이용하여 서버시간괴 실제 동기화가 되었는지 확인해보길 바람.

근데 아직 이해안가는게 있다.

$ man rdate
요놈을 보니 -s 옵션은 Do not print the time. 요문구가 있는데 실제 -s가 없어도 되는것인가? 아...
다시한번 요건 공부해야겠음.

아 확인해 보니 ...ㅋㅋㅋ

$ rdate time.bora.net만 해도 Sync는 됨 . -s 옵션은 걍 시간을 보여주지 않을뿐임.ㅋㅋㅋㅋ

                                               - 2011.10.10 랑이씀 -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n을 이용한 스케쥴러 관리  (0) 2012.07.30
CentOS Iptables 방화벽 포트 OPEN하기  (2) 2012.07.02
[ 리눅스 Encoding 변경 ]  (0) 2011.07.12
Tomcat WAS server.xml 셋팅방법  (0) 2011.05.17
[ VIM 창 분할하기 ]  (2) 2011.02.23
반응형

리눅스 OS에서 이미 생성된 파일의 인코딩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짝 알아보도록 하자.


[1] VI Editor에서 한글 인코딩 변경하기
(1) vi로 파일을 연다.
(2) 명령모드로 들어가 다음 명령어를 친다.
 

 :set fileencoding=utf-8 
 :set fileencoding=euc-kr

(3) [w] 저장모드로 파일을 저장한다.

[2] 리눅스에서 iconv 명령어를 이용한 방법
(1) 다음 Format으로 인코딩변경을 한다.
 iconv -f [이전 인코딩] -t [이후인코딩] [이전파일명] --output [인코딩후 파일명]
 ex) iconv -f euc-kr -t utf-8 euc-kr.html --output utf8.html

가끔가다가 위 [2] 번방법을 많이쓰고, [1]번 방법이 굉장히 자주쓰이는 방법이다.

[2]를 활용하여 shell script를 만든다면, 아주 쉽게~ 특정 폴더에 있는 파일의 인코딩을 바꿀수도

있으리라 본다.


                                                                 - 2011.07.15 랑이씀 -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Iptables 방화벽 포트 OPEN하기  (2) 2012.07.02
리눅스 서버 시간 Sync(동기화)  (0) 2011.10.10
Tomcat WAS server.xml 셋팅방법  (0) 2011.05.17
[ VIM 창 분할하기 ]  (2) 2011.02.23
[ 파티션 설정 ]  (0) 2011.02.21
반응형
하루가 멀다하고 지인들이 AS를 요청한다.

옛날에는 CD에다가 고스트이미지를 굽고다녔는데...

이제는 이것도 귀찮고 USB 고스트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인터넷 검색후 나도 적어본다.

아~~~ 하드웨어 손땐지 어~~~~언 5년 ... 개발자가 이런걸 해야하다니 ㅋㅋ

아무튼... 따라해 보도록 하자.

(1) 다음 프로그램들을 다운받도록 하자.


  위 3개파일은 아무개 블로그에서 나도 훔쳐온것 !! ㅋㅋㅋ
  파일설명을 하도록 하겠따....
  autoexec.txt   : 추후 USB저장시에 bat 파일로 바꾸어야하는데 실제 자동부팅에 관한파일이다.
  BootImg.zip   : 부팅하기위한 기본적인 파일이 저장되어있다.
  config.sys     : 요건먼지 고민해봐야한다.
  GHOST.ZIP    : 압축풀면 GHOST 11.0.1 Version 파일이 들어있다.
  HPUSBDisk.exe : 요거 Install하면 포맷과 동시에 BootImg.zip파일의 내용이 복사가능하다.

(2) BootImg.zip 압축푼다.

(3) HPUSBDisk.exe 파일을 Install한다.

(4) (3)에서 인스톨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고럼 아래의 그림이 뜬다.

  



체크하라는것만 체크한 뒤에 Start 버튼을 Click한다.

(5) autoexec.txt / config.sys 두개 파일을 USB에 저장한다.
     autoexec.txt 파일은 autoexec.bat 파일로 파일명을 변경하여 저장한다.

(6) GHOST.ZIP 을 압축푼후에 USB에 저장한다.

(7) 완료!!ㅋㅋㅋ 이제 재부팅하고 부팅순서를 USB-HDD 로 선택한후 부팅한다.

(8) 부팅완료 !!!
    A:> => 요렇게 나오면 A:> GHOST.EXE 라고 치면 고스트가 실행된다.




우~~~~아~~~~으~~~~ 드디어 다씀.ㅋㅋㅋ 여러분들... 보시고 가신분은 댓글달기.. 알죠? ㅋㅋ

반응형

+ Recent posts